본문 바로가기

천연꿀-효능덩어리/천연꿀-일반

(11)
효능덩어리 천연꿀의 항암 효능 안녕하세요 입니다. 가열가공하지 않은 천연꿀의 다양한 효능은 역사적으로 관찰되어 왔지만, 체계적으로 그 효능을 추적하고 평가하는 작업은 아직도 진행중에 있습니다. 2000년대 초반까지 밝혀진 천연꿀의 효능은 항균, 항염, 항산화 작용이었으며, 지금까지 추가로 발견되거나, 연구가 진행되고 있는 분야는 항진 효능, 항변이 효능 (즉, 정상세포의 DNA 변이를 막아 암세포의 발생과 성장을 막음) 항바이러스 효능 등입니다. 암세포의 발생과 증식 과정 일단, 암세포의 발생과 성장에 관한 간략히 설명드리면, 어떤 이유로 인해 정상세포의 DNA 에 변이가 발생하고 이와 같이 변이된 비정상 세포가 점점 성장하고 비대해져 더 많은 비정상적인 DNA 변이를 가진 세포가 증가합니다. 이처럼 비대해진 비정상 DNA를 가진 세..
효능덩어리 천연꿀이 간건강과 세포건강에 미치는 영향 안녕하세요 입니다. 꿀을 드시는 경우는 크게 감미료로 차나 음식에 섞어 드시거나, 건강을 위해 일정량을 매일 드시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중 건강을 위해 일정량을 매일 드시는 방법으로 천연꿀을 지속적으로 섭취했을 때. 꿀에 포함된 피토케미칼의 작용에 의해 항산화, 항염 효능이 활성화 되어 신체의 면역기능과 대사기능이 회복되는 결과를 입증하는 연구 결과가 매우 많은데요, 그중 한가지 자료를 소개해 드리겠습니다. 이 논문의 제목은 Effects of Daily Consumption of Honey Solution on Hematological Indices and Blood Levels of Minerals and Enzymes in Normal Individuals 이며, 천연꿀을 매일 먹었을 때 혈액수치 ..
효능덩어리 천연꿀의 영양성분의 핵심 피토케미칼 안녕하세요 입니다. 천연꿀의 주성분 천연꿀은 70%의 당분과 17%의 수분, 그리고 나머지 성분으로 나뉘어져 있습니다. 70%의 당분은 대략 반반의 비율로 과당과 포도당으로 이루어져 있고, 흔히 설탕으로 부르는 Sucrose 를 1~2% 정도 포함하고 있습니다. 천연꿀의 건강성분 천연꿀의 항균, 항염, 항산화 작용 중 특히 체내 흡수 후의 항염 및 항산화 효능은 꿀에 포함된 미량영양소인 폴리페놀, 플라보노이드의 포함량이 가장 중요합니다. 꽃꿀은 밀원에 따라 플라보노이드의 종류와 특성, 포함량이 다르지만 일반적으로 허브꽃을 밀원으로 하는 꿀의 항염, 항산화 작용이 높게 나타납니다. 허브꽃에서 얻어진 꿀 중에서도 타임꿀 Thyme Honey 은 고대 그리스시대부터 약재로 사용되어 왔으며, Thyme 의 그리..
효능덩어리 천연꿀 효능의 핵심 Hydrogen Peroxide 안녕하세요 입니다. 천연꿀의 항균, 항염, 항산화 효능과 치료 효능은 익히 알려져 있지만, 이와 같은 효능이 어떻게, 어느 물질에 의해 일어나는지에 대해서는 아직까지도 명확히 설명되지 않고 있습니다. 그 이유는 생화학적 반응은 매우 복합적으로, 다양한 물질과 특성의 작용에 의해 일어나며 한 두가지 물질에 의해 일어나지 않기 때문입니다. 이번에 리뷰한 논문 은 모든 천연꿀에 존재하는 Hydrogen Peroxide 와 꽃화분 즉, Pollen 을 천연꿀의 각종 효능에 핵심적으로 기여하는 성분으로 주목합니다. 참고로,..
효능덩어리 천연꿀의 치료 효능 안녕하세요 입니다. 지난번에 말씀드린, 천연꿀에 관한 현대연구에서 가장 큰 업적을 세운 피터 몰란 교수는 1999년에 새로운 연구결과를 발표합니다. 이 논문의 주제는 으로, 천연꿀의 항균, 항염, 항산화 효능의 작용 매커니즘을 설명하고, 의료용 혹은 치료용으로 사용한 임상결과를 조명합니다. 지난글에서 소개한 1992년의 피터 몰란 박사의 논문과 마찬가지로 이 논문의 대상은 가열가공을 거치지 않은 천연꿀 즉, Natural Honey 입니다. 천연꿀의 항균, 항염, 항산화 효능은 천연꿀에 포함된 효소성분과 꿀에 내재된 피토케미칼 성분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이므로, 63도 이상 가열가공되어 효소와 각종 피토케미칼의 구조가 파괴된 꿀에서는 이와 같은 효능을 기대할 수 없습니다. 천연꿀의 치료 효능 천연꿀의 ..
효능덩어리 천연꿀이 높은 항균효과를 갖는이유 안녕하세요 입니다. 천연꿀의 각종 효능에 관한 최근 30년간의 연구논문과 인용자료, 참고자료를 거슬러 올라가보면 결국 1992년에 발표된 Peter Mollan 교수의 논문인 에 다다르게 됩니다. 이 논문의 지금까지의 피인용회수는 1,300회 이상으로, 천연꿀의 효능과 작용에 관해 그다지 주목하지 않고 있던 당시 학계의 관점을 완전히 뒤바꾼 엄청난 논문으로, 천연꿀에 관한 역사에서 마치 커다란 공룡 발자국 화석 같은 논문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이 논문의 연구 대상은 논문에 명확히 기재된 바와 같이, Natural Honey 즉 천연꿀이며, Processed Honey 즉, 가공꿀이 아닙니다. 천연꿀의 항균 효능의 생성과 발휘에 핵심적으로 작용하는 효소성분은 63도 이상 가열가공시 모두 사라지므로 건강상..
효능덩어리 천연꿀이 건강에 좋은 이유 안녕하세요 입니다. ​ 인간의 면역계와 식습관의 연관관계를 연구한 미국의 저명한 의사인 조엘 펄먼 박사는 건강유지와 면역력 강화를 위한 제1 조건이 미량영양소 즉, 피토케미칼의 풍부한 섭취에 있음을 입증하였습니다. 그는 미국 펜실베니아 의과대학 박사이자 미국영양연구재단 협회 회장으로, 그의 식단 프로그램을 따른 루푸스 환자를 비롯한 수많은 면역질환자의 건강이 정상으로 돌아오는 사례를 발표하였으며, 이에 따라 미국의 의약계 역시 암세포와 같은 비정상 세포에 대해 인체의 면역계 스스로가 공격하여 제거하는 방식으로 연구개발 패러다임이 변화되어 왔습니다. ​ ​ 2011년에 국내에 출간된 그의 저서 에서 그는 현대인의 밥상에서 천연식품과 신선식품의 비중이 갈수록 적어지고 있으며, 이와 같이 가공식품으로 가득찬 ..
효능덩어리 천연꿀 중 에어본허니 제품을 추천하는 이유 안녕세요 입니다. ​ ​ 천연꿀과 가공꿀의 차이 천연꿀은 가열가공을 거치지 않아, 항균, 항염, 항산화 효능이 모두 살아있는 천연 건강식품입니다. 하지만, 이와 같은 효능의 효과를 얻기 위해서는 가열가공을 거치지 않은 천연꿀이어야 한다는 점이 매우 매우 중요합니다. 하지만 전세계의 대부분의 나라와 공장에서는 섭씨 63.5도 이상으로 가열가공하는 공정을 사용하여 꿀을 생산하고 있는데, 이 온도가 되어야만 꿀 안에 녹아 있는 천연 밀랍성분인 비즈왁스 Beeswax 성분을 걸러낼 수 있기 때문입니다. 비즈왁스는 위점막의 건강 강화에 도움을 주며 인체에 완전히 무해한 다소 흰색을 띠는 천연 성분이지만 온도변화에 민감하기 때문에, 생산이 완료된 꿀제품의 열과 빛에 대한 노출에 대해 신경쓰고 싶어하지 않는 회사들은..
효능덩어리 천연꿀을 가장 저렴하게 구하는 방법 안녕하세요 입니다 ​ 가열하지 않고 생산되는 천연꿀은 뛰어난 영양성분과 효능에도 불구하고 끈적거리는 상태로 느리게 생산되는 특성 때문에 생산단가가 높아지는 단점이 있습니다. 게다가 국내의 경우 해외에서 수입되는 가공꿀, 천연꿀에 대해 수입원가의 250% 이상의 관세를 부과하기 때문에 풍부한 영양성분과 효능을 보존한 천연꿀을 저렴하게 구하는데 조금 어려움이 있습니다. 그나마 조금이라도 더 저렴하게 효능덩어리 천연꿀을 구할 수 있는 방법은 아래의 세가지 뿐인데요, ​ ​ 1. 천연꿀의 해외직구 천연꿀이라 해도 개인소비용으로 USD 150 달러 이하의 금액의 주문건에 대해서는 수입관세가 면제됩니다. 따라서, 유럽, 미주, 오세아니아 등에서 생산된 천연꿀 제품을 해외직구 방식으로 구매하게 되면 250% 의 수입..
효능덩어리 천연꿀과 가공꿀을 구분하는 방법 안녕하세요 입니다. 천연꿀과 가공꿀의 가장 큰 차이는 가열가공 여부 인간이든 동물이든 곤충이든 모든 생명활동은 효소 Enzyme 이라고 불리는 고분자 화학물질에 의해 작동하게 되는데, 이를 집중적으로 연구하는 분야가 생화학으로 따로 분리되어 있을 만큼 효소는 인체에 매우 중요한 요소입니다. 생명활동의 핵심인 효소의 엄청난 종류와 작용 매커니즘은 계속 연구되어 밝혀지고 있지만 전체적으로 보면 아직까지 밝혀진 부분보다는 앞으로 밝혀질 부분이 더 많은 상태이며, 인간의 지성이 아직까지 온전히 이해하지 못한 미지의 영역이기도 합니다. ​ 이처럼 중요한 효소는 각 종류마다 최적의 활성을 나타내는 온도가 정해져 있는데, 보통 낮은온도부터 조금씩 활성이 증가하다가 특정 온도에서 최대의 효과를 발휘하고 그 이후 급격히..